본문 바로가기

728x90
반응형

IT/python

(25)
프로그래머스 : 공배수 (파이썬) ​문제​ 내답안 def solution(number, n, m): answer=0; #변수 0 초기화 if( (number % n) == 0 and (number % m) == 0): #number가 n과 m의 공배수이면 answer = 1; #변수 1로 변경 return answer; #리턴 결과 후기 나머지를 응용한 부분이라 어렵지 않았다.
프로그래머스 : n의 배수 (파이썬) ​문제​ 내답안 def solution(num, n): answer = 0 #변수 초기화 if(num % n == 0): #num / 2 의 나머지가 0이면 n이 num의 배수임을 확인 할 수 있음. answer = 1 # 배수일떄는 answer값을 1로 변경 elif(num % n ==1): # 나머지가 1일경우에는 배수가 아님을 확인 할 수 있음. answer = 0 # 배수가 아닐때난 answer값을 0로 변경 return answer #최종반환 결과 ​ 후기 나머지를 응용한 부분이라 어렵지 않았다.
프로그래머스 : 두 수의 연산값 비교하기 (파이썬) ​문제 내답안 def solution(a, b): _2xaxb = 2 * a * b # 2*a*b 값저장 a = str (a)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형변환 b = str (b)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형변환 str_ab = a+b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붙임 int_ab = int(str_ab) #문자열붙인 문자를 정수로 형변환 if(int_ab > _2xaxb or int_ab == _2xaxb) : #비교문 ab가 크거나 값이 같으면 return int_ab elif(int_ab
프로그래머스 : 더 크게 합치기 (파이썬) ​문제 ​ 내답안 def solution(a, b): a = str (a)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형변환 b = str (b)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형변환 str_ab = a+b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붙임 str_ba = b+a #받은 파라미터 문자열 붙임 int_ab = int(str_ab) #문자열붙인 문자를 정수로 형변환 int_ba = int(str_ba) #문자열붙인 문자를 정수로 형변환 if(int_ab>int_ba or int_ab == int_ba): #ab가 더크거나, ab와 ba과 같을경우 return int_ab #ab 반환 elif(int_ab
프로그래머스 : 문자열 곱하기 (파이썬) ​문제 ​ 내답안 def solution(my_string, k): answer = '' for i in range(k): #정수 k만큼 루프돌린다. answer = answer + my_string #answer 값에 루프돈만큼 문자열이 붙여짐. return answer # 최종반환 결과 ​ 후기 다른언어에서 사용하던 for 방식대로 구현해서 별어려움이없었음.
프로그래머스 : 문자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(파이썬) ​문제 ​ 내답안 def solution(arr): answer = '' for i in arr: #i로 for를 돌리는 구분역할하며 휴대폰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뽑을때 #print(i); answer = answer+i #print(answer) return answer 결과 ​ 후기 다른언어에서 사용하던 for 방식대로 구현해서 별어려움이없었음.
프로그래머스 : 문자열 섞기 (파이썬) 문제설명 ​ 내답안 def solution(str1, str2): result = '' for i in range(0,len(str1)): #인덱스0번부터 str1의 길이만큼 for문을 돌린다. str1과 str2의 길이가 같기에 result = result+str1[i]+str2[i] return result 결과 ​ 후기 만약 str1의 길이와 str2의 길이가 달랐으면 약간 생각이 깊어질거 같지만, 이번 알고리즘 문제는 별문제없이 풀었다.
프로그래머스 : 문자열 겹쳐쓰기 (파이썬) 문제설명 ​ 내답안 def solution(my_string, overwrite_string, s): answer = my_string[:s] + overwrite_string + my_string[s+len(overwrite_string):] #my_string[:s]: 이 부분은 my_string의 시작부터 인덱스 s (미포함)까지의 하위 문자열을 추출합니다. #my_string[s+len(overwrite_string):]: my_string에서 인덱스 s (삽입 시작 위치)부터 overwrite_string 길이만큼 더하여 my_string의 끝까지 추출합니다. return answer 결과 ​ 후기 문자열 자르는 내장함수를 익히라는 알고리즘 문제같다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