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일간 도커 쿠버네티스 우분투 몇십번 삭제하며 테스트해서 정리완료.
선행과정
1. 도커데스크탑 설치 (인터넷쳐서 docker desktop 깔면 완료)
2. 도커데스크탑에서 쿠버네티스 설정 활성화 (setting에서 쿠버네티스 들어가서 enable 체크박스해주면 완료)
3. 우분투설치 후 도커 쿠버네티스 잘깔렸나 확인(전 22.04)
>docker version 했을때 잘나오는지?
>kubectl get nodes 했을때 아래 처럼나오는지

우분투의 기본계정에서 설치함, ROOT로 설치안했음
경로는 home/계정/~ 여기서 명령어처리
선행 이후 kubeflow 설치
kustomize 설치
curl -s "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kubernetes-sigs/kustomize/master/hack/install_kustomize.sh" | bash
sudo mv kustomize /usr/local/bin/
kubeflow manifests 클론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kubeflow/manifests.git
cd manifests
kustomize를 사용하여 설치
while ! kustomize build example | kubectl apply -f -; do echo "Retrying to apply resources"; sleep 10; done
인그레스 설정:(로그인후 UI)
kubectl apply -f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kubernetes/ingress-nginx/main/deploy/static/provider/cloud/deploy.yaml
user Namespace 생성
kustomize build common/user-namespace/base | kubectl apply -f -
Kubeflow 접근
로컬 환경에서 포트 포워딩을 사용하여 Kubeflow UI에 접근
kubectl port-forward svc/istio-ingressgateway -n istio-system 15012:80
15012 포워드는 아래 포트확인방법보면 15012로 열려있음.
로컬 막혀있어서 http://127.0.0.1:15012/ 로 들어갔음.

초기 덱스 아이디 비번 user@example.com / 12341234

bad healthy 에러 뜨면 pod 다 안열린거니까 pod열린건지 확인 꼭필요,,
컨테이너 로딩이 다소 느릴수도있고 컴의 사양이 좀 받쳐줘야할듯함.
회사 컴은 짱짱해서 잘돌아가는데, 집 노트북으론 일부 컨테이너들이 실행이 안되는 현상이있었음.
포트확인방법
kubectl get svc -n istio-system

팟상태확인 (아래 명령어로 팟이 전부 러닝일때 ui내 전체기능을 사용할수 있음)
에러가 뜬다면 해결이 필요하고, 로딩이 다소 느릴수있으니 컨테이너 관찰바람
kubectl get pods -n cert-manager
kubectl get pods -n istio-system
kubectl get pods -n auth
kubectl get pods -n knative-eventing
kubectl get pods -n knative-serving
kubectl get pods -n kubeflow
kubectl get pods -n kubeflow-user-example-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