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lutter

현업 FLUTTER 개발 들어가기전 DART언어 파악하기 (변수편)

유교주 2024. 2. 16. 15:41
728x90
반응형

1. 코드는 main함수안에 , 세미콜론은 항상 습관적으로 (다트는 포멧 불가)

2. 변수는 var 혹은 변수의 타입을 선언한다. (var는 함수 내 지역변수사용시 관습적 사용 클래스나 프로퍼티는 타입으로 선언 처리)

*만약 변수를 선언할 때 아무런 값을 지정하지 않거나, 타입을 선언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dynamic 타입을 가진다.

타입을 알기가 힘들 때 사용한다(json 작업같은 경우) dynamic 타입은 다양한 타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정말 필요할 때만사용

3. 기본적으로 모든 변수는 non-nullable(null이 될 수 없음)이다. null을 넣고싶을떈 타입뒤에 String? 식으로 물음표를 붙여주면 null 이 들어올수 있다. 변수값이 null 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내장함수는 isNotEmpty 이다. 2번의 경우 nullable 변수이다.

4. 상수값은 final [변수명] 으로 선언이 가능하다.(자스의 const) 한번 지정되면 바꿀수없으며, final [타입명] [변수명] 으로 선언해도되는데, 필자는 flutter 개발시 타입명은 다붙일 계획이다.

5. dart의 const는 자스의 const와는 다르다 수정못하는 상수긴함.. dart에서 const는 compile-time constant를 만들어준다.

const는 컴파일할 때 알고 있는 값을 사용해야 한다. 만약 어떤 값인지 모르고, 그 값이 API로부터 오거나 사용자가 화면에서 입력해야 하는 값이라면 그건 const가 2,3,4 번의 변수케이스로 사용해야한다.

*const: 컴파일 시점에 바뀌지 않는 값 (상수)

final: 컴파일 시점에 바뀌는 값 (API에서 받아온 값, 사용자 입력값)

6. late: final, var, String같은 것들 앞에 써줄 수 있는 수식어로서 어떤 데이터가 올 지 모를 때 사용한다. (초기화상태)

상수에 1회 적용시 2회수정부턴 수정안됨.

728x90
반응형